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굿즈 제작 질문질문 큰 캠퍼스에 일러를 그리고 (예를 들면 3000*3000) 각 굿즈 사이즈(엽서나 캔뱃지, 아크릴 크기)에 맞게 축소(수정)해서 만들어도 되나요? Rgb로 작업 다하고 cmyk로 바꿔서 출력해도 되나요? 아니면 처음부터 cmyk로 작업하는게 좋나요?

728x90

굿즈 제작 질문질문 큰 캠퍼스에 일러를 그리고 (예를 들면 3000*3000) 각 굿즈 사이즈(엽서나 캔뱃지, 아크릴 크기)에 맞게 축소(수정)해서 만들어도 되나요? Rgb로 작업 다하고 cmyk로 바꿔서 출력해도 되나요? 아니면 처음부터 cmyk로 작업하는게 좋나요?

굿즈 제작에 관한 두 가지 질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질문은 큰 캠퍼스에서 일러스트를 그리고, 그 후에 다양한 굿즈 사이즈에 맞게 축소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큰 캠퍼스에서 작업하는 것은 훌륭한 아이디어입니다. 3000x3000 픽셀의 크기는 디테일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후 각 굿즈의 사이즈에 맞춰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먼저, 축소할 때는 해상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엽서나 캔뱃지 같은 소형 굿즈는 300 DPI(인치당 도트 수) 이상의 해상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인쇄 품질이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가 축소되면 작은 디테일이 사라질 수 있으므로, 원본에서 충분한 해상도를 가진 요소들을 미리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두 번째 질문은 RGB 색상 모드로 작업한 후 CMYK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것입니다. RGB와 CMYK는 각각 다른 색상 모드로, RGB는 디지털 화면에서 사용하는 색상 모드이며, CMYK는 인쇄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상 모드입니다. RGB로 작업한 후 CMYK로 변환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색상 변환 과정에서 색상의 왜곡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처음부터 CMYK 색상 모드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인쇄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색상 변화를 줄일 수 있습니다. CMYK로 작업할 경우, 각 색상 구성 요소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인쇄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질문 모두 굿즈 제작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들이므로, 잘 고려하여 작업하시면 훌륭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티스토리 구독 해두시면 다양한 정보들을 무료로 구독해 보실 수 있어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