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시골 목장용지 내 무허가 창고의 건축물 등록 관련 문의 목장용지 / 지역 및 지구는 도시지역, 일반공업, 중로 2류입니다.

728x90

할아버님의 시골 목장용지를 증여 받으면서 용지 내에 있는 무허가 창고를 건축물 등록하고자 합니다. 대지는 1,000 ㎡ 가량 되고, 지목은 목장용지 / 지역 및 지구는 도시지역, 일반공업, 중로 2류입니다. 창고는 10년 이상 된 건물이고, 철제 빔 뼈대로 판넬 건물이며 100평 가량됩니다. 건축물 등록을 사후 등록하게 되는 부분인데, 페널티 혹은 등록시 받아야하는 검사 및 세금 등 정리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시골 목장용지 내 무허가 창고의 건축물 등록 관련 문의 목장용지 / 지역 및 지구는 도시지역, 일반공업, 중로 2류입니다. 

시골 목장용지에 있는 무허가 창고를 건축물로 등록하고자 하신다면, 몇 가지 중요한 사항과 절차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건축물 등록 절차

  • 사후 등록: 이미 건축된 무허가 건축물에 대해 사후 등록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관청(시청 또는 구청)의 건축과에 문의하여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확인해야 합니다.

2. 필요 서류

  • 건축물 등록 신청서: 관청에 제출하는 공식 신청서입니다.
  • 건축물 현황 도면: 창고의 구조, 면적 등을 나타낸 도면이 필요합니다.
  • 신분증 사본: 본인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입니다.
  • 부동산 등기부 등본: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입니다.
  • 건축물 시공 사진: 건축물이 실제로 존재함을 증명하기 위한 사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검사 및 절차

  • 현장 점검: 신청 후 관청에서 현장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 건축물의 구조 및 용도 등이 적법한지 확인합니다.
  • 지자체의 판단: 규제 및 법적 요건에 따라 등록이 허가될 수 있으며, 등록 여부는 각 지자체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4. 페널티 및 벌금

  • 무허가 건축물 등록 시 페널티: 기존의 무허가 건축물을 등록할 경우, 무허가 건축물로 인한 페널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등록이 지연될 경우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벌금 액수: 무허가 건축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는 지자체의 규정에 따라 다르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세금 문제

  • 재산세: 건축물이 등록되면, 해당 건축물에 대해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재산세는 매년 납부해야 하며, 세금의 금액은 지역 및 면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 건축물 대장 등록 후 세금: 등록 후에는 건축물 대장에 기재되어, 세금이 매년 자동으로 부과됩니다.

6. 기타 고려 사항

  • 용도 변경 여부: 무허가 창고를 등록할 때, 용도(예: 창고, 작업장 등)가 도시계획 및 해당 지역의 용도 지역에 부합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건축물 등록의 승인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정기적 점검: 등록 후에는 해당 건축물에 대해 정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보수 및 유지관리를 해야 합니다.

결론

무허가 창고를 건축물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충분한 준비와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관련 서류를 준비하고, 해당 관청과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절차와 필요한 조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지역의 규정이 다를 수 있으니, 지역 관청과의 상담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티스토리 구독 해두시면 다양한 정보들을 무료로 구독해 보실 수 있어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