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 Pest 분석! 이제 더 이상 놓치지 마세요! 🕵️‍♀️🔍

728x90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해충들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모기나 바퀴벌레 등과 같은 유해곤충들을 퇴치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곤충들은 번식력이 뛰어나 한 번 발생하면 쉽게 박멸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해충인 모기와 바퀴벌레의 특성 및 생태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이들의 방제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모기란 어떤 곤충인가요?
모기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뎅기열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이다. 또한 모기는 성충뿐만 아니라 유충단계에서도 각종 질병을 전파한다.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매년 약 70만 명이 모기매개질병으로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 한국에서의 경우 2010년 이후부터는 말라리아 환자수가 감소추세이지만 여전히 해외유입감염병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바퀴벌레란 어떤 곤충인가요?
바퀴벌레는 주로 어둡고 습한 곳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매우 해로운 해충이다. 바퀴는 생존기간이 길어 환경변화에 적응능력이 뛰어나고 집단생활을 하는 습성이 있으며 교미 시 암컷 혼자서도 알을 낳을 수 있고 산란 후 10~20일이면 부화되기 때문에 개체수 조절이 쉽지 않다. 게다가 다른 종과의 이종교배율이 높아 유전적 변이가 많고 병원균을 보유하고 있어서 인체에 감염될 위험이 높다.

유해곤충 어떻게 예방해야하나요?
우리나라에선 해마다 여름철마다 방역작업을 실시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만 진행되는 실정이고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방충망 설치만으로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방충망만으로는 완벽한 차단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실험결과 아파트 내 창문 틈새로 유입되는 벌레 비율이 전체의 38%였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모기였다. 결국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경로를 차단해야만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해충방제업체 세스코 관계자는 “집 안 곳곳에 살충제를 뿌리는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전문 업체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