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환경오염과 관련해서 이슈가 많이 되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공기청정기와 같은 생활가전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중 PEST분석을 통하여 최근 관심받고 있는 친환경 정책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PEST란 무엇인가요?
PEST(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이란 정치, 경제, 사회, 기술이라는 의미이다. 즉, 특정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모든 분야에서의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는 분석방법이다. 예를 들어 미국 대선 후보인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PEST분석 사례 좀 알려주세요~
우선 대표적인 사례로 2016년 박근혜 정부 당시 시행되었던 ‘전기차 보급 활성화 방안’을 들 수 있다. 전기차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큰 친환경 자동차이지만 충전 인프라 부족 및 높은 차량가격 등으로 인해 시장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정부는 2017년 1월 발표한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통해 2020년까지 전기차 35만대 보급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는 ▲친환경차 수요창출 지원 ▲충전인프라 확충 ▲수요맞춤형 인센티브 제공 ▲기술개발 및 보급기반 강화 등 4가지를 선정하였다.
PEST분석 어떻게 활용하나요?
PEST분석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 또는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가지 주제만을 다루기보다는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사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복합적인 사고능력을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