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지방 붕괴로 인한 10kg 감량기🔥

728x90


 

서울시 전체인구수는 약 970만명이고 이 중 송파구(약 68만명), 강남구(약 55만명), 서초구(약 44만명) 등 강남권 거주자가 서울시 전체인구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여사는 지역인 만큼 교통체증과 주차문제 또한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자가용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다. 그렇다면 왜 우리나라 국민들은 자가용이 없으면 불편함을 느끼는 걸까?

우리나라 자동차 등록대수는 몇 대일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2,360만 대로 집계되었다. 국토교통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에만 신규등록차량이 100만 대가 넘게 증가했다.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올해 연말이면 대한민국 총 자동차 등록대수는 2,5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 가구당 1.4대 꼴이다.

자동차 보급률이 높은 나라 순위는?
2019년 7월 영국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산하 연구기관인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세계 18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세계 번영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보급률은 98위였다. 즉, 10명 중 4명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일본보다는 낮지만 미국·독일·프랑스·영국보다도 높다. 특히 중국과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왜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차가 많을까?
우선 지리적 특성상 도로망이 발달되어 있고 도시 간 이동이 편리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는 소득수준 향상 및 생활방식 변화다. 맞벌이 부부나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차를 타고 다니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만큼 차량 유지비 부담이 커졌지만 승용차 선호 현상은 여전하다. 게다가 최근 들어 미세먼지 이슈가 부각되면서 공기청정기와 더불어 필수가전으로 자리 잡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