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안전보건공단 인터넷교육센터, 이제는 집에서도 쉽게 배울 수 있다!👍

728x90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근로자들이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들을 예방하기 위해서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요. 특히 최근 5년간 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한 업종과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집중관리를 하고 있답니다. 그래서 이번엔 이 중에서도 건설업 분야에서의 추락재해예방기술 및 작업별 위험요인 분석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건설업분야에서 추락재해란 무엇인가요?
추락이란 말 그대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주로 건물 외벽작업시 사다리나 비계 위에서 작업하다가 떨어져 다치는 경우가 많아요. 또한 지붕위에서 작업하거나 철골구조물 사이에서 작업하다 떨어지기도 하죠. 이렇게 떨어짐으로써 생기는 재해를 모두 추락재해라고 합니다.

왜 이러한 추락재해가 많이 발생하나요?
첫째, 우리나라 건축물 대부분이 노후화되어 있고, 부실공사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어요. 둘째, 고층건물 공사 시 고소작업용 장비인 스카이차(고소작업차)등을 이용해서 작업해야하지만 현장 여건상 이를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셋째, 고령근로자가 증가하면서 근력약화로 인한 신체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추락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첫번째, 가설통로 설치입니다. 외부비계 또는 높이 2m이상의 작업발판 주위에는 반드시 견고한 구조의 통로를 설치해야해요. 두번째, 낙하물 방지망 설치입니다. 개구부 주변에는 덮개설치 후 망을 설치하여야 하며, 세번째, 안전난간 설치입니다. 수직형틀비계 상부 난간기둥 간의 간격은 1.8m 이하로 하여야하며, 네번째, 이동식비계 조립시 준수사항 입니다. 다섯번째, 거푸집 동바리 설치기준입니다. 여섯번째, 용접불티 비산방지대책입니다. 일곱번째, 콘크리트 타설계획 수립입니다. 여덟번째, 가시설물 해체 계획수립입니다. 아홉번째, 크레인 신호수 배치입니다. 열번째, 흙막이 지보공 설치기준입니다. 마지막으로 열한번째, 개인보호구 착용입니다.

오늘은 건설업 관련 추락재해예방기술 및 작업별 위험요인 분석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시간에는 더욱 유익한 주제로 찾아오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