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페스트 분석으로 알아보는 비즈니스 비밀🤫

728x90


 

최근 몇 년 사이에 많은 기업들이 PEST분석을 이용해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PEST란 무엇인가요?
PEST(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라는 단어 그대로 정치, 경제, 사회, 기술 등 4가지 측면에서의 환경 변화를 의미한다. 즉, 특정 국가나 지역 또는 산업과 관련된 여러 가지 외부환경요인인 정치, 경제, 사회, 기술 요인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함으로써 해당산업의 기회와 위협요인을 도출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PEST 중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봐야하나요?
PEST중에서도 특히 주목해야될 부분은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정부 정책이고, 두 번째는 글로벌 트렌드이다. 먼저 정부 정책으로는 노동정책, 복지정책, 조세정책, 규제정책등이 있고, 글로벌 트렌드는 세계화, 고령화, 기후변화, 인구구조변동, 정보통신기술 발전 등이 있다.

PEST 사례 한 가지만 소개해주세요.
사례 1: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한미 FTA 재협상 요구
미국 대선 기간 동안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를 큰 격차로 누르고 승리하면서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수출품 가운데 약 40% 이상이 미국 시장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미 무역흑자가 200억 달러 규모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및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재협상 추진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속에 한미 FTA 재협상 카드를 꺼내든다면 국내 자동차 업계뿐만 아니라 철강, 기계, 전자 업종 전반에 걸쳐 타격이 불가피하다.
사례 2: 중국 사드 보복 조치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중국 내 반한 감정이 확산되면서 한류 콘텐츠 유통 금지, 롯데마트 영업정지, 관광객 제한 등 다양한 형태의 제재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화장품, 식품, 패션업계 등 대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또한 올해 상반기 방한 외국인 관광객수가 전년 대비 10% 감소했으며, 하반기 전망도 밝지 않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미 양국 간 외교관계 복원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데다 한중 관계 개선 협의문 발표 직후 유커 방문이 재개되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례 3: 일본 엔화 약세 지속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경기부양책 ‘아베노믹스’ 효과로 엔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원/엔 환율이 100엔당 900원 선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7월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엔 환율은 전일 종가대비 8.7원 하락한 998.9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원/엔 환율이 1000원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앞서 6월 말까지만 해도 원/엔 환율은 1100원대였다. 하지만 지난달 중순부터는 줄곧 하락세를 보이며 이달 초 한때 990원대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지금까지 PEST 에 대해 알아보았다. 앞으로의 미래사회는 더욱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된다.


 

728x90